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

제24회 송은미술대상전 제24회 송은미술대상전The 24th SONGEUN Art Award  2024.12.17. ~ 2025.2.22.송은서울 강남구 도산대로 441 본선 참여구나 구자명 김원화 노상호 박종영 배윤환손수민 송예환 안유리 얄루 업체 오묘초유아연 이승애 이혜인 조재영 진민욱 최장원추미림 탁영준 대상탁영준  송은문화재단의 제24회 송은미술대상전에 다녀왔다. 대상을 받은 탁영준 작가의 영상 작업이 좋았다는 후기가 많이 들려왔고 그래서 정말 기대되었던. 이번 송은대상전을 보고 인간과 기술 그리고 창작의 방식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해 볼 수 있었다. 예술가가 예측하는 미래 그리고 현재의 쓸모 사이에서 각 예술가들이 작두를 타는 걸 보고 있는 느낌이 들어서 신선했던 거 같다. 기술을 바탕으로 하는 예술이 기술에 종속되지 .. 2025. 1. 31.
산 자와 죽은 자 가운데 | 아트센터 예술의 시간 산 자와 죽은 자 가운데amidst the living and the dead  2024.12.7.-2025.1.25.아트센터 예술의 시간서울 금천구 범안로9길 23 예술의 시간 참여작가금혜원 김시하 김원진 박보나 손선경오묘초 장보윤 정고요나 정수 한석경  전시를 보는 이들은 왜 이곳에 왔을까. 예술가는 어떤 외침을 하고 있을까. 획일화된 개인의 경험 속에서 아이러니하게도 우리는 연결되지 못한 채 살아간다. 미디어로 인해 납작해진 세상은 공허하고 우리는 동시대를 '죽음'이라는 상태로 경험하고 공유하길 반복한다. 예술가는 자신의 이야기를 말할 수 있는 사람. 세상을 향해 연결을 시도하고 고립되지 않은 생명력을 만들어내는 사람. 예술은 시대와 사회적 맥락 안에 이야기를 만들어내고 전달하는 일. 개인의 이야기.. 2025. 1. 8.
나는 예술가로 살기로 했다 [나는 예술가로 살기로 했다]의 저자 에릭 메이젤은 심리치료사이자 창의력 컨설턴트로 글, 그림, 음악 등의 예술가들을 대상으로 상담을 해주고 그들이 더 나은 창작을 지속하도록 돕습니다. 이 책에서는 예술가들이 자신의 고뇌와 문제를 매우 솔직하게 다룹니다. 예술가들의 삶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매우 흥미롭게 느껴질 것이고, 자신이 예술가라면 많은 공감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넋두리에 가까운 가벼운 고민부터 삶과 예술관에 대한 깊은 고뇌까지 타인의 다양한 문제들을 들여다보는 게 꾀나 재밌습니다. 예술가들은 그들이 자신의 창작물로 생존이 가능한 궤도를 타기 전까지 공통적으로 몇 가지의 아주 큰 문제를 직면하게 됩니다. 생존의 문제, 미래에 대한 불안함, 이상과 현실의 괴리, 시간과 공간의 문제, 자기 비난.. 2023. 10. 17.
[펠드먼의 비평 4단계] 미술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을까? 그림을 본다는 건 단순히 보는 행위를 지칭할 수도 있지만 그림에 대한 객관적 분석과 작가 연구를 거친 해석과 평가의 단계까지의 감상을 말하기도 합니다. 그런데 그림이라는 주관적 대상에 대한 객관적 평가 기준이 존재할까요? 객관적으로 평가한다는 것 자체가 가능한 일일까요? 미국의 미술교육자 펠드먼은 비평 4단계 이론을 통해 언어적 비평 방법을 제시하면서 객관적 미술 감상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그럼 펠드먼의 비평 4단계는 구체적으로 어떤 과정을 거치는지, 그리고 그 한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단계: 서술의 단계 (Description) 서술의 단계에서는 외형적인 요소에 대해서만 서술해야 합니다. 예를 들면 그림의 제목이 뭔지, 작가는 누구인지, 제작된 시기는 언제인지, 사용된 재료는 무엇인지, .. 2023. 9. 20.